티스토리 뷰

반응형

롯데월드 번지드롭과 회전그네 운행 종료, 25년의 추억을 안고 떠난다

롯데월드 어드벤처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 온 인기 어트랙션, '번지드롭'과 '회전그네' '머킹의 회전목마'가 아쉽게도 이제 곧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2000년대 초부터 수많은 이들에게 짜릿한 스릴과 추억을 선사해온 세 기구는 2025년 2월 2일, 20여 년의 긴 여정을 마치고 운행을 종료합니다.

 

롯데월드 놀이기구 운행종료 안내문

 

그동안 함께했던 순간들을 되돌아보며, 마지막 추억을 담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롯데월드 번지드롭, 25년의 짜릿한 순간들

롯데월드 번지드롭

 

롯데월드의 번지드롭은 2000년 7월, 당시 35억원의 예산을 들여 새롭게 선보였던 어트랙션으로, 개장 당시부터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탑승객을 32미터 높이까지 끌어올린 후 자유 낙하를 하는 이 기구는, 짜릿한 스릴을 원하는 이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특히, 최고 시속 72km로 빠르게 상승하고 낙하를 반복하는 구조로, 타는 내내 손끝까지 스릴을 선사했습니다.

 

번지드롭은 2006년 매직아일랜드로 이전되며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자이로드롭, 자이로스윙, 자이로스핀 등 다른 고공 어트랙션들과 함께 '매직아일랜드'를 고공 스릴의 성지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때마다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운 순간을 안겨주었고, 매번 탑승할 때마다 설렘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롯데월드 회전그네, 하늘을 나는 기분

롯데월드 회전그네

 

2002년 9월, 롯데월드 회전그네는 매직아일랜드에서 또 다른 매력을 발산하며 등장했습니다. 12미터 크기의 버섯나무에 매달린 32개의 의자들이 시속 50km로 회전하며 하늘을 나는 듯한 기분을 선사했죠.

 

 

나무가 흔들리며 의자의 기울기도 달라지는 모습은 탑승자들에게 더 큰 재미를 주었고, 의자가 최대 4.5미터까지 올라가며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언제나 환한 미소와 함께 즐겁게 회전하던 그 순간들이 떠오릅니다.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움직였지만, 언제나 매직아일랜드에서 함께 나란히 자리하며 많은 추억을 만들어갔습니다.

 

이 두 어트랙션은 롯데월드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선사했고, 매일같이 웃음과 환호로 가득한 시간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이제 25년 동안 이어져온 이 두 어트랙션은 2025년 2월 2일, 그 운명을 마감하게 됩니다.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마지막으로 번지드롭과 회전그네에서의 추억을 쌓아보세요. 그리고 그 순간을 소중히 담아 SNS에 공유하는 이벤트에 참여해 보세요!

 

#굿바이매직어트랙션 추억 인증샷 이벤트

운영 종료 전, 롯데월드는 '굿바이매직어트랙션' 추억 인증샷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번지드롭과 회전그네와 함께한 추억을 사진으로 남기고, 필수 해시태그 '#굿바이매직어트랙션'과 함께 인스타그램에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스타벅스 카페라떼 T 기프티콘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드립니다.

 

이벤트 기간은 1월 13일부터 2월 2일까지며, 당첨자는 2월 7일 발표됩니다. 특별 미션도 준비되어 있어, 번지드롭이 실내에 있었던 2000년에서 2006년 사이의 사진을 올려주면, 롯데월드 종합이용권 1인 2매가 주어지는 기회도 제공됩니다.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

비록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2월 2일을 마지막으로 운행을 종료하지만, 롯데월드 어드벤처는 여전히 새로운 어트랙션과 흥미진진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그동안 번지드롭과 회전그네에서 느꼈던 짜릿한 스릴과 하늘을 나는 기분은 언제나 우리의 추억 속에 남을 것입니다.

 

이 두 어트랙션이 남긴 흔적은 롯데월드 어드벤처의 역사를 장식하는 중요한 한 페이지로, 우리의 마음속에서 오래도록 빛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함께했던 그 순간들을 잊지 않고, 새로운 추억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이 특별한 이벤트에 참여하여,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시간을 보내보세요!

 

반응형